2020년 8월 (14/20)
84. 기능점수(Functional Point)모형에서 비용산정에 이용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?
① 클래스 인터페이스
② 명령어(사용자 질의수)
③ 데이터파일
④ 출력보고서
[해설] FP 기능별 가중치 산정요소
1. 자료 입력(입력 양식)
2. 정보 출력(출력 보고서)
3. 명령어(사용자 질의수)
4. 데이터 파일
5. 필요한 외부 루틴과의 인터페이스
91. DDoS 공격과 연관이 있는 공격 방법은?
① Secure shell
② Tribe Flood Network
③ Nimda
④ Deadlock
[해설] 보안 공격
1. Secure Shell: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서 제어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해당 프로토콜
2. Tribe Flood Network(TFN): DDoS 공격의 일종
3. Nimda: 바이러스의 일종
4. Deadlock: 교착상태
** 분산 공격용 툴: Trin00, TFN, TFN2K, Stacheldraht
92. CPM 네트워크가 다음과 같을 때 임계경로의 소요기일은?
① 10일
② 12일
③ 14일
④ 16일
[해설] 임계 경로
- 작업의 시작 및 종료 구간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가장 오래 걸리는 경로
경로1: 2+2+3+3 = 10일
경로2: 2+3+5+4 = 14일
경로3: 3+5+4 = 12일
→ 14일
98.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 중 소프트웨어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평가 및 개선하는 국제 표준은?
① SCRUM
② ISO/IEC 12509
③ SPICE
④ CASE
[해설] SPICE
- 소프트웨어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평가 및 개선하는 국제 표준
- 공식 명칭: ISO/IEC 15504
- 목적
1)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개발기관이 스스로 평가
2) 기관에서 지정한 요구조건의 만족요건을 개발조직이 스스로 평가
3) 계약 체결을 위해 수탁 기관의 프로세스를 평가
99. 실무적으로 검증된 개발보안 방법론 중 하나로써 SW보안의 모범 사례를 SDLC(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)에 통합한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생명주기 방법론은?
① CLASP
② CWE
③ PIMS
④ Seven Touchpoints
[해설]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생명주기 방법론
1. CLASP (Comprehensive, Lightweight Application Security Process)
-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(SDLC) 초기단계에 보안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정형화된 프로세
- 활동중심, 역할기반의 프로세스로 구성된 집합체
- 이미 운영중인 시스템에 적용하기 적합
2. CWE (Common Weakness Enumeration)
- 주요 보안 취약점, 보안 문제를 정리하는 프로젝트
3. PIMS (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)
- 개인정보 보호관리체계
4. Seven Touchpoints
-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(SDLC)의 각 단계에 관련된 7가지의 보안 강화 활동을 개발자에게 집중적으로 관리하도록
요구하여 실무적으로 검증된 개발보안 방법론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