패스트캠프 모의고사 1회 (12/20)
7. 데이터 접속(Data Mapping)과 관련한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기술은?
① SQL Mapping
② ORM
③ JDBC
④ ODBC
[해설] Data Mapping
ORM(Object-Relational Mapping)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기술
9. 트랜잭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인 TCL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COMMIT
② SAVEPOINT
③ RETURN
④ ROLLBACK
[해설] 트랜잭션 제어 명령어
COMMIT, ROLLBACK, SAVEPOINT
12. 단위 모듈 테스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이 기본적으로 사용된다.
② 단위 모듈에 대한 코드이므로 시스템 수준의 오류들을 찾아내기는 어렵다.
③ 테스트 케이스를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.
④ 모듈 통합 이후에는 찾기 어려운 에러들을 간단히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.
[해설] 단위 모듈 테스트
단위 모듈 테스트에는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이 기본적으로 사용된다.
14. 디지털 저작권 관리(DRM)의 기술 요소가 아닌 것은?
① 암호화(Encryption)
② 식별 기술(Identification)
③ 인증(Authentication)
④ 캡슐화(Capsulation)
[해설] 디지털 저작권 관리(DRM)의 기술 요소
- 암호화
- 키 관리
- 암호화 파일 생성
- 식별 기술
- 저작권 표현
- 정책 관리
- 크랙 방지
- 인증
15. 다음 중 빌드 자동화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빌드 자동화 도구에는 Ant, Maven, Gradle, Jenkins 등이 있다.
② 빌드 자동화 도구는 지속적인 통합 개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.
③ Gradle은 Java 기반의 오픈 소스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빌드 자동화 도구이다.
④ Jenkins는 SVN, Git 등 대부분의 형상 관리 도구와 연동이 가능하다.
[해설] 빌드 자동화 도구
Gradle은 Groovy 기반 오픈 소스 형태의 자동화 도구로, 안드로이드 앱 개발 환경에서 사용된다.
20. 다음 중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 적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?
①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은 먼저 인터페이스 기능 및 보안 취약점을 확인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적용한다.
② 애플리케이션 구간에 보안 기능 적용시 민감한 데이터는 데이터 자체에 대한 암호화, 익명화 등을 고려한다.
③ 네트워크 구간에 보안 기능 적용 시 중간자에 의한 데이터 탈취 및 위조와 변조를 막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에
암호화를 수행한다.
④ 데이터베이스에 보안 기능 적용 시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 및 데이터베이스 동작 객체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는
기능으로 적용한다.
[해설]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
애플리케이션 영역의 보안은 애플리케이션 코드 상 보안 취약점을 보완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