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년 5월 (17/20)
29. 다음 설명의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도구 방식은?
① 단일 저장소 방식
② 분산 저장소 방식
③ 공유폴더 방식
④ 클라이언트·서버 방식
[해설]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도구 방식
1. 분산 저장소 방식
- 하나의 원격 저장소와 개발자 PC의 로컬 저장소에 저장
- 자신의 로컬 저장소로 복사해 작업, 로컬 저장소에서 우선 반영(commit) 그 후 원격 저장소에 반영(push)
- 문제가 생겨도 로컬 저장소의 자료를 이용해 작업 가능
-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 및 처리 속도 빠름
2. 공유 폴더 방식
- 로컬 컴퓨터의 공유 폴더에 저장되어 관리
- 공유폴더의 파일을 자기 pc로 복사 후 이상 유무 확인
3. 클라이언트/서버 방식
- 중앙 시스템(서버)에 저장되어 관리 방식
- 개발자별로 자신의 pc(클라이언트)로 복사
- 모든 버전 관리는 서버에서 수행
- 서버에 문제 생기면 다른 개발자 협업 및 버전 관리 작업 중단
37. 소프트웨어 패키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패키징은 개발자 중심으로 진행한다.
② 신규 및 변경 개발소스를 식별하고, 이를 모듈화하여 상용제품으로 패키징 한다.
③ 고객의 편의성을 위해 매뉴얼 및 버전관리를 지속적으로 한다.
④ 범용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일반적인 배포 형태로 패키징이 진행된다.
[해설] 소프트웨어 패키징
패키징은 사용자 중심으로 진행
40. 다음 중 스택을 이용한 연산과 거리가 먼 것은?
① 선택정렬
② 재귀호출
③ 후위표현(Post-fix expression)의 연산
④ 깊이우선탐색
[해설] 선택 정렬
선택 정렬은 큐를 이용해서 정렬하는 방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