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1. SQL 의 분류 중 DDL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UPDATE
② ALTER
③ DROP
④ CREATE
55. DML에 해당하는 SQL 명령으로만 나열된 것은?
① DELETE, UPDATE, CREATE, ALTER
② INSERT, DELETE, UPDATE, DROP
③ SELECT, INSERT, DELETE, UPDATE
④ SELECT, INSERT, DELETE, ALTER
[해설] SQL의 분류
1. DDL(데이터 정의어, Data Definition Language): CREATE, ALTER, DROP
2. DML(데이터 조작어, Data Manipulation Language): SELECT, INSERT, DELETE, UPDATE
3. DCL(데이터 제어어, Data Control Language): GRANT, REVOKE
46.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(logical design) 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이 아닌 것은?
①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
②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매핑(mapping)
③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
④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
[해설] DB의 논리적 설계
1. 논리적 DB구조로 매핑
2.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
3. 스키마 평가, 정제
* 레코드 집중의 분석, 설계: 물리적 설계
48.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원자값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?
① 도메인
② 튜플
③ 엔티티
④ 다형성
[해설] DB 용어 정리
1. 속성: 개체의 특징이나 상태를 기술 - 릴레이션의 열
2. 도메인: 속성이 가질 수 있는 모든 값들의 집합
3. 튜플: 속성의 모임 - 릴레이션의 행
4. 엔티티: 현실 세계의 객체이며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것
5. 다형성: 오버라이딩, 오버로딩
57. 병행제어의 로킹(Locking)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데이터베이스, 파일,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.
②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가 감소한다.
③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데이터베이스 공유도가 증가한다.
④ 한꺼번에 로킹 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.
[해설] 병행제어의 로킹(Locking)
- 로킹↑: 로크수, 병행성, 오버헤드, 공유도 ↓ / 제어기법 간단해져 관리 수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