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2. 소프트웨어 재공학의 주요 활동 중 역공학에 해당하는 것은?

 소프트웨어 동작 이해 및 재공학 대상 선정

 소프트웨어 기능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 형태를 목적에 맞게 수정

 ③ 원시코드로부터 설계정보 추출 및 절차 설계표현, 프로그램과 데이터 구조 정보 추출

 기존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새로운 기술 또는 하드웨어 환경이 이식

 

[해설] 소프트웨어 재공학

1 - 분석(Analysis)

2 - 개조(Restructing)

3 - 역공학(Reversing)

4 - 이식(Migration)


68. 자료흐름도(DFD)의 작성 지침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?

 자료는 처리를 거쳐 변환될 때마다 새로운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.

 자료흐름도의 최하위 처리(process)는 소단위명세서를 갖는다.

 ③ 배경도(context diagram)에도 명칭과 번호를 부여해야 한다.

 어떤 처리(process)가 출력자료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자료가 반드시 입력되어야 한다.

 

[해설] DFD(Data Flow Diagram)

3 - 배경도에는 명칭과 부호를 부여하지 않음


78. 자료흐름도(DFD)의 각 요소별 표기 형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?

 Process :

 ② Data Flow : 화살표

 ③ Data Store : 삼각형

 ④ Terminator : 사각형

 

[해설] DFD의 요소별 표기 형태

3 - Data Store은 두 개의 직선으로 표기


80.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사용자의 요구 기능을 충족시키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?

 Reliability

 ② Portability

 ③ Correctness

 ④ Efficiency

 

[해설]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

1. 신뢰성(Reliability): 요구된 기능을 오류없이 실행하는 정도

2. 이식성(Portability):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운용 가능하도록 쉽게 수정할 수 있는 정도

3. 정확성(Correctness): 사용자가 요구한 기능을 충족시키는 정도

4. 효율성(Efficiency): 필요한 자원의 정도

'정보처리기사 오답노트 (개정 전) > 4과목. 소프트웨어 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7년 8월 (15/20)  (0) 2021.08.11
2018년 3월 (15/20)  (0) 2021.08.11
2018년 8월 (16/20)  (0) 2021.08.11
2019년 4월 (15/20)  (0) 2021.08.10
2019년 8월 (12/20)  (0) 2021.08.10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