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6. 소프트웨어 형상관리(Configyration management)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소프트웨어에서 일어나는 수정이나 변경을 알아내고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.
②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체 비용을 줄이고, 개발 과정의 여러 방해 요인이 최소화되도록 보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
③ 형상관리를 위하여 구성된 팀을 “chief programmer team”이라고 한다.
④ 형상관리의 기능 중 하나는 버전 제어 기술이다.
[해설] 소프트웨어 형상관리
Chief Programmer Team은 형상관리를 위해서 구성된 팀이 아님
37. 퀵 정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레코드의 키 값을 분석하여 같은 값끼리 그 순서에 맞는 버킷에 분배하였다가 버킷의 순서대로 레코드를 꺼내어
정렬한다.
② 주어진 파일에서 인접한 두 개의 레코드 키 값을 비교하여 그 크기에 따라 레코드 위치를 서로 교환한다.
③ 레코드의 많은 자료 이동을 없애고 하나의 파일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가면서 정렬한다.
④ 임의의 레코드 키와 매개변수(h)값만큼 떨어진 곳의 레코드 키를 비교하여 서로 교환해 가면서 정렬한다.
[해설] 정렬
1. 퀵 정렬: 레코드의 많은 자료 이동을 없애고 하나의 파일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가면서 정렬하는 방식
2. 삽입정렬: 가장 간단한 정렬 방식, 이미 순서화된 파일에 새로운 하나의 레코드를 순서에 맞게 삽입시켜 정렬
3. 선택정렬: n개의 레코드 중에서 최소값을 찾아 첫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고, 나머지 n-1개 중에서 다시 최소값을 찾아
두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는 방식을 반복하는 정렬
4. 버블정렬: 주어진 파일에서 인접한 두 개의 레코드 키 값을 비교해 그 크기에 따라 레코드 위치를 서로 교환하는 정렬
5. 힙 정렬: 전이진 트리를 이용한 정렬
38. 해싱 함수(Hashing Function)의 종류가 아닌 것은?
① 제곱법(mid-square)
② 숫자분석법(digit analysis)
③ 개방주소법(open addressing)
④ 제산법(division)
[해설] 해싱 함수의 종류
1. 제산법
2. 제곱법
3. 중첩법(폴딩법)
4. 숫자분석법
5. 기수변환법
6. 무작위 방법
'정보처리기사 오답노트 (개정 후) > 2과목. 소프트웨어 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년 5월 (17/20) (0) | 2021.08.13 |
---|---|
패스트캠프 모의고사 1회 (12/20) (0) | 2021.08.12 |
2020년 9월 (17/20) (0) | 2021.08.10 |
2020년 8월 (15/20) (0) | 2021.08.09 |
2020년 6월 (9/20) (0) | 2021.08.09 |